족소양담경 유주 및 경근
병증
넷째 발가락에 경련이 일어나며 무릎 바깥쪽이 땅기고 경련이 일어나 굴신하지 못하며 오금이 땅기며 앞으로는 넓적다리로 뒤로는 꼬리뼈까지 땅기고 위로 허구리와 계협부가 땅기고 아프며 결분혈 가슴 목 부위야 연결된 근이 땅긴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서 오른쪽 눈을 뜨지 못하며 위로 오른쪽 액각을 지나 교맥과 병행하여 왼쪽에서 오른쪽에 락하므로 좌각이 손상되면 오른쪽 다리를 쓰지 못하게 되니, 이러한 것을 '維근이 서로 교류한다'고 한다.
시동병과 소생병
시동병 (기병)
입이 쓰고, 한숨을 잘 쉬고, 심장부위와 옆구리가 아프고, 옆으로 돌아 눕지 못하고, 심하면 얼굴이 어둡고 때가 낀 듯하고, 몸에 기름기와 광택이 없고, 발 가쪽이 도리어 열이 난다.
소생병 (혈병)
머리가 아프고, 턱 아래 후두융기 위쪽(함)이 아프고, 가쪽눈구석이 아프다, 결분 가운데가 붓고 아프고, 겨드랑 밑이 붓고, 결핵성 임파선염이 있고, 땀이 나고 추워 떨고, 학질이 있고, 가슴, 옆구리, 갈비뼈, 넓적다리 앞부위, 무릎 가쪽에서 정강뼈까지, 절골, 가쪽복사 앞쪽과 모든 관절이 아프고 넷째발가락을 쓰지 못한다.
족소양담경 병후 및 병증
병후
- 외경병후: 결분부종통, 액하종, 흉협~퇴하지외측통, 목외자통, 두통, 함통, 이롱
- 내장병후: 목현, 구고, 한열왕래, 나력
병증
- 순행부 병증: 편두통, 目痛, 이병, 인후통, 함통, 흉협통, 하지외측통
- 장부 병증: 간병, 담병
- 소양, 궐음 열성병증
- 간계 병증 (근병)
족소양담경 주요 혈위
양릉천: 협통을 주치함
현종: 반신불수, 상하지마목, 두경부마목에 사용
풍지: 두통을 주치함
오수혈
규음(정금) 협계(형수) 족임읍(수목) 양보(경화) 양릉천(합토)
원락극모혈
구허(원혈) 광명(락혈) 외구(극혈) 일월(복모혈) 담수(배수혈)
청회(GB2) ☆
위치
얼굴, 귀구슬사이패임과 아래턱뼈관절돌기 사이의 오목한 곳
입을 벌리고, 귀구슬사이패임 앞쪽의 오목한 곳에서 취혈
청궁에서 수직으로 아래쪽에 위치
이주의 전하방으로 병간절흔과 하함과상돌기 중간에 취하는데, 천측두동맥의 박동에 응수되는 곳으로 개구시 공처가 출현하는 부위
이수의 전상방으로 병상절흔 전방에는 이문혈, 이주 전방 중앙에는 청궁혈, 이주 전하방으로 병간절흔 전방에는 청회혈을 취함
이문 - 청궁 - 청회
근육: 관자근
신경: 큰귓바퀴신경의 앞가지, 귓바퀴관자신경, 얼굴신경의 관자가지
혈관: 얕은관자동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5~0.7촌 / 입을 벌리고 약간 후사방으로 1~1.5촌 자입하기도 함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5분
주치
- 간담화로 인한 두부의 제열성 질환에 사용 (임상에서는 청궁혈을 보다 활용)
- 일체 耳질환(폭롱, 이롱시종, 중이염)에 사용 (신허이명, 이롱)
- 간기울결, 폭노로 인한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에 유효 (+ 태충, 행간, 구허) (음식물 찌꺼기가 아래 잇몸에 끼는 경우에도 활용)
- 하악관절 탈구로 인한 제반 병증에 요혈 (아치탈구, 아거급으로 인한 저작불능에 사용)
상관(GB3) ☆
위치
머리, 광대활 중점 위쪽의 오목한 곳
광대활위쪽, 하관 위쪽의 오목한 곳에서 취혈
관골궁 하연의 이하전부에서 개구즉폐하고 긴폐즉요함부가 출현하는 곳에 하관혈을 정하고, 하관혈 직상의 관골궁 상연 요함처에서 상관혈을 취함
근육: 깨물근, 관자근
신경: 귓바퀴관자신경, 광대신경의 광대관자가지, 깨물근신경, 얼굴신경의 관자가지
혈관: 얕은관자동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3~0.5촌 / 불의심자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0분
주치
청회와 효능주치가 유사함
- 간담화로 인한 두부의 제반 열성 질환에 사용
- 구안와사, 삼차신경통에 유효
- 치통에 지통 작용이 우수
- 이명, 이롱에 사용
- 목적(사혈), 시력감퇴 특히 색맹치료의 대표혈 (+ 동자료)
- 턱관절 질환 치료에 효과(환부주위혈) (구금작물명통에 사용)
현로(GB5) ☆
위치
머리, 두유와 곡빈을 연결하는 선의 중점
근육: 관자근, 관자마루근
신경: 귓바퀴관자신경, 눈확위신경의 가쪽가지, 광대신경의 광대관자가지
혈관: 얕은관자동정맥, 앞관자판사이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3~0.5촌 (뒤를 향하여 연피자)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0분
주치
간담화로 인한 두부의 제열성 질환에 사용
- 두통, 신경쇠약, 뇌충혈에 사용하며 특히 신경성 편정두통에 활용
- 치협동통, 안면적종(삼차신경통)에 유효
- 구안와사 치료에 사용
곡빈(GB7) ★☆
위치
머리, 귓바퀴끝을 지나는 수평선과 관자놀이머리카락경계선의 뒤모서리를 지나는 수직선이 만나는 지점
이병전연을 지나는 수직선과 이첨을 지나는 수평선이 교차하는 점에서 취함
근육: 관자마루근, 앞귓바퀴근
신경: 귓바퀴관자신경
혈관: 얕은관자동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3~0.5촌 / 횡자할 때는 연피자 0.1촌하여 청회로 투자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0분
속성
중풍칠처혈
주치
간담화로 인한 두부의 제반 열성 질환에 사용
- 중풍칠처혈 중 하나로 모든 중풍 관련 질환에 사용
- 중풍후유증으로 인한 반신불수에 활용 (환측구 건측자침)
- 중풍후유증 치료: 신맥, 백회, 곡지, 족삼리, 곡빈, 예풍 (상지 반신불수 시 + 견정, 곡지, 수삼리, 외관, 합곡) (하지 반신불수 시 + 풍시, 족삼리, 풍륭(청계), 절골, 태충(공손))
- 폭음부득언, 구금불개에 사용
- 중풍후유증으로 인한 반신불수에 활용 (환측구 건측자침)
- 구안와사, 삼차신경통에 사용
- 안병, 시강막출혈에 사용
- 족소양여족태양경지회혈로서 사경, 항마목에 유효
- 편두통에 활용 (환부주위혈)
부백(GB10)
위치
머리, 꼭지돌기의 위뒤쪽, 천충에서 완골을 연결하는 곡선에서 위로부터 1/3과 아래로부터 2/3가 되는 지점
천충혈, 부백혈, 두규음혈, 완골혈을 궁형 선상에서 취함
근육: 관자마루근
신경: 귓바퀴관자신경, 작은뒤통수신경
혈관: 뒤통수동정맥, 뒤귓바퀴동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3~0.5촌 (피부따라)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5분
주치
족소양과 족태양의 교회혈로 제풍열성 질환 (임상에서는 예풍을 더 활용)
- 두부의 제열성 질환을 치료함
- 두통두풍(두중여석), 치통 등의 열성, 충혈성 질환에 유효 (열성병, 고혈압, 저혈압의 경우 항상 이 부위에 압통, 충혈성 불쾌감 혹은 냉감이 나타남)
- 이명, 이롱에 사용
- 편도선염, 후비해역, 호흡곤란에 유효
- 경항영기, 옹종에 응용
- 안목사시동통에 사용
- 사지마비(견배불거, 위불능행), 하지탄산에 사용
두규음(GB11) ☆
위치
머리, 꼭지돌기위뒤쪽, 천충에서 완골을 연결하는 곡선에서 위쪽으로부터 2/3와 아래쪽으로부터 1/3이 되는 지점
근육: 뒤통수이마근의 뒤통수힘살, 뒤귓바퀴근
신경: 귓바퀴관자신경, 작은뒤통수신경
혈관: 뒤통수동정맥, 뒤귓바퀴동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3~0.5촌 (피부따라)
뜸법: 애주구 3~5장 (규음은 옛날부터 뜸이 좋다고 알려짐) / 온구 5~15분
주치
수족소양, 족태양경의 교회혈로 열이 상옹하여 발현되는 두부 제반 질환에 유효
- 두항통, 현훈, 오후 식곤증에 의한 두통 등에 지압으로도 유효 (두규음 부위에 통증이 심하면 사혈한다)
- 이명, 이롱, 이동에 사용
- 사지전근, 경련에 응용
- 뇌막염, 뇌충혈, 삼차신경통에 사용
완골(GB12) ★☆
위치
목앞 부위, 꼭지돌기(유양돌기) 아래 뒤쪽의 오목한 곳
근육: 목빗근
신경: 큰귓바퀴신경의 뒤가지, 작은뒤통수신경
혈관: 뒤통수동정맥, 뒤귓바퀴동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3~0.5촌 (향하사자, 동측 눈동자를 향하여 자침)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5분
주치
족태양, 족소양 교회혈로 두부의 모든 열성(오관과) 질환에 유효 (실제 임상에서 함염~완골 중 대표혈로 활용)
- 정신신경증상에 효과
- 불면증의 주요 혈위로서 일명 안면혈이라고도 함 (+ 사신총, 신문, 삼음교, 조해, 신맥, 내관, 공손 / 동씨: 실면, 안면 일이점)
- 편두통, 현기증, 뇌충혈
- 삼차신경통
-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 (구안와사 전후에 이중, 이후 동통이 있는 경우, 즉 화농성 염증 질환이 원인인 구안와사에 사용) (先 耳後(완골, 예풍, 풍지 부위)사혈, 後四肢자침(합곡, 간사, 내관) 或 구안와사 주요 혈위(지창, 협거) 자침, 次加수증선혈)
- 실어증
양백(GB14) ☆
위치
머리, 동공 중심에서 수직으로 위쪽, 눈썹위쪽으로 1촌
눈썹 상연에서 전발제까지 3촌의 골도법으로 산정하여, 눈썹 중간 상연 상방 1촌처로 눈을 직시할 시 동자 직상방에 취함
근육: 뒤통수이마근의 이마힘살
신경: 이마신경의 가쪽가지
혈관: 눈확위동맥, 얕은관자동정맥의 이마가지, 이마판사이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3~0.5촌 (뒤를 향하여 피부따라 자침) / 횡자하여 어요로 투자 0.3~0.5촌 (위에서 아래로 피하부를 따라 자입)
뜸법: 애주구 2~3장 / 온구 3~5분
주치
본신, 양백은 뇌와 직접 연락되어 뇌 관련 모든 질환을 주치
- 두뇌이상(뇌신경, 혈관계질환)으로 인한 제반 병증에 효과 (현기증, 전액통 등)
- 모든 뇌관련 안질환에 사용
- 혈압이상으로 시력감퇴, 羞明, 두통증상 등에 사용 (도장침으로 자침 혹은 양백투어요, 양백투사죽공)
- 야맹증, 다치(눈꼽), 근시 등에 사용
- 안면경련, 삼차신경통, 안검경련, 안검하수 등에 사용 (상검불하, 이마에 주름이 안 잡히는 말초성 구안와사 +사죽공)
두임읍(GB15) ☆
위치
머리, 동공중심에서 수직으로 위쪽, 전발제에서 머리안쪽으로 0.5촌
정면을 바라볼 때, 동공 중심에서 위쪽, 신정에서 두유를 연결하는 곡선의 중점
신정혈 양방 2.25촌
신정 - 7.5푼 - 미충 - 7.5푼 곡차 - 7.5푼 두임읍 - 7.5푼 본신 - 1.5촌 두유
근육: 뒤통수이마근의 이마힘살
신경: 이마신경의 가쪽가지
혈관: 눈확위동맥, 얕은관자동정맥의 이마가지, 이마판사이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3~0.5촌 (위를 향하여 피부따라) / 삼릉침으로 점자출혈
뜸법: 애주구 2~4장 / 온구 5~10분
주치
- 두부 열병요혈 중 하나로 모든 열병을 주치
- 일체 안질환 특히 급만성결막염, 漏風증(+ 합곡, 승읍)
- 일체 비질환 사용 (인당을 향해 하방으로 전차함 + 상성)
- 비색, 축농증에 효과
- 비출혈, 무맥증 (백회에 뜸)
- 담석증의 압통점 (담석증이 있는 경우 대개 담수, 완골, 임읍에 압통이 있거나 우측 견배통이 발현)
- 급성 요추상에 응용
승령(GB18)
위치
머리, 동공중심에서 수직으로 위쪽, 전발제에서 머리안쪽으로 4촌
정영에서 뒤쪽으로 1.5촌, 통천과 같은 높이에 위치
백회혈에서 수평선을 긋고, 동자 직상의 두임읍혈에서 수직선을 그어 교차하는 점에서 취함
백회혈, 통천혈, 승령혈은 가로선 상에서 취함
근육: 머리덮개널힘줄, 관자근
신경: 큰뒤통수신경
혈관: 얕은관자동정맥, 뒤통수동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3~0.5촌 (뒤를 향하여 피부따라)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5분
주치
소풍청열 작용이 있어서 모든 풍열성 질환에 응용
- 뇌풍두통, 편두통에 유효
- 비연, 다채, 비색(풍열성), 해수천식, 기관지염 등에 사용
- 뉵혈에 사용
뇌공(GB19)
위치
머리, 풍지에서 수직으로 위쪽, 바깥뒤통수뼈융기 위모서리와 같은 높이
뇌호, 옥침과 같은 높이에 위치
뇌호혈(백회혈 후방 4.5촌 또는 침골외릉요상각)과 각손혈을 이은 선에서, 뇌호혈에서 2/5처 또는 각손혈에서 3/5처에 취함
승령혈 후방 4.5촌에 해당됨
근육: 뒤통수이마근의 뒤통수힘살, 머리긴근, 머리반가시근
신경: 큰뒤통수신경, 작은뒤통수신경
혈관: 뒤통수동정맥, 뒤귓바퀴동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3~0.5촌 (뒤를 향하여 피부따라 자침)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5분
주치
소풍청열 작용이 있어서 모든 풍열성 질환에 응용
- 감모성 증상(두통신열, 두풍, 천식, 비뉵 등)에 유효
- 두면허종, 심계에 사용
- 경항강불가회전 (환부주위혈)
풍지(GB20) ★☆
위치
목뒤부위, 뒤통수뼈의 아래쪽, 목빗근이 시작하는 곳과 등세모근 사이의 오목한 곳
풍부와 같은 높이에 위치
아문혈 양방 1.5촌에서 천주혈을 정한 다음 천주혈과 완골혈의 중간으로 후두부의 요함처에 취함
양측 이수의 높이로 침골하 항근 외측 함중에 취함
고개를 뒤로 젖혔을 때 유양돌기 후방에서 생기는 요함처로 흉쇄유돌근과 승모근 사이에 해당됨
근육: 등세모근, 머리반가시근, 위머리빗근, 아랫머리빗근, 큰뒤머리곧은근, 작은머리곧은근, 머리널판근
신경: 큰뒤통수신경, 작은뒤통수신경, 더부신경
혈관: 뒤통수동정맥
침법: 직자 0.3~1촌 (침첨을 대측안구방향으로 자입) / 사자 0.5~1.5촌 (침첨을 약간 사하방향으로 이수와 수평으로 자입) / 내부의 중앙에 연수가 있으므로 심자 금지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5~20분
주치
두항부 치료의 대표혈임
- 외감풍한사로 인한 모든 풍열성 병증에 유효
- 유행성감모, 상풍, 상한(한불출)으로 인한 발열, 두통, 항강 등에 사용
- 외감성 안이비인후과 질환(비후성 비염, 비뉵, 영풍유루 등)에 사용
- 외감풍사의 침입을 받는 부위로 상한초기 항강증에 사용
- 견주위 풍혈: (견)염풍 - 풍문 - 풍지 - 풍부(뇌)
- 중풍 주요 혈위 중 하나, 양교맥의 종지혈로서 열성 두경항부 질환에 활용
- 두통 특히 담음 혹은 스트레스로 인한 두통, 편두통 (+ 열결, 합곡)
- 양교맥과 관련한 불면, 안질환, 전간지류증에 효과
- 중풍, 뇌출혈, 고혈압에 활용 (각손혈과 함께 풍지를 엄지로 잠시 누르다가 빠르게 떼는 지압방법도 효과)
- 갑상선기능과 연관된 영기에 사용
견정(GB21) ★☆
위치
목 뒤부위, 일곱째 목뼈 가시돌기와 어깨뼈봉우리 가쪽끝을 연결하는 선의 중점
제7경추극돌기하의 대추혈과 견봉의 견우혈과의 중점이며 승모근상에 취함
주관절을 측흉에 대고 손을 반대쪽 견상에 가볍게 올려서 손가락 중지첨단이 닿는 견상의 요함처에 해당됨
근육: 등세모근, 가시위근
신경: 빗장위신경, 등쪽어깨신경, 어깨위신경
혈관: 가로목동정맥, 어깨위동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5~1촌 / 침감이 비교적 강하고 아래에는 폐첨부가 있으므로 신중히 자침하며, 갑자기 자극을 주거나 심자하여 훈침이나 기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 / 임신 중 금침 / 심자하여 졸도 시 족삼리 보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10~30분
주치
- 반신불수 치료 주요 혈위 중 하나로서 제반 경련, 위축성 질환에 사용
- 견부 질환에 응용할 수 있는 대표혈
- 중풍후유증으로 팔이 처진 사람 (+ 견우)
- 승모근긴장, 견배통의 주요 혈위 (두부 대표: 백회 / 항부 대표: 풍지 / 견부 대표: 견정)
- 항강, 낙침 (+ 후계, 중저)
- 소아마비후유증과 같은 하지 질환 (건측 천자)
- 견부 질환에 응용할 수 있는 대표혈
- 통경활락 작용이 있어서 기혈실조(옹색)으로 인한 제반 병증에 응용 (+ 삼리)
- 여성의 산전후 제반 병증에 사용
- 난산에 응용 (무통분만에 활용 + 지음, 합곡, 삼음교)
- 태의불하, 악혈상충, 수태후수족약, 루견풍통에 사용
- 유옹, 산후 유즙불하에 사용
- 신허요통을 치료함
- 치매에 유효
- 여성의 산전후 제반 병증에 사용
- 폐첨염으로 인한 심한 천식에 요혈 (뜸)
연액(GB22) ☆
위치
가쪽가슴부위, 넷째갈비사이공간, 중간겨드랑선 위
액와 중점의 극천혈에서 계협(11늑골단)까지 1척 2촌의 골도법으로 산정하여 극천혈 하방 3촌처로 제4~5늑간에 취함
단중혈 양방 8촌처에 연액혈을 취하며, 신봉, 유중, 천지, 천계, 첩근은 가로선상으로 취함
근육: 넓은등근, 앞톱니근, 바깥갈비사이근, 속갈비사이근
신경: 다섯째갈비사이신경, 긴가슴신경
혈관: 갈비사이동정맥, 가슴배벽정맥, 가쪽가슴동정맥
침법: 직자 0.2~0.3촌 (내부위폐 금심자) / 사자 0.3~0.5촌
뜸법: 금구 / 온구 3~5분
주치
흉부의 모든 병증(근위취혈)에 활용
- 흉막염, 액와임파선염, 늑간신경통에 사용
- 유암, 유옹, 유종에 활용
첩근(GB23) ☆
위치
가쪽가슴부위, 넷째갈비사이곤간, 중간겨드랑선에서 앞쪽으로 1촌
연액 앞쪽 1촌에서 취혈
연액혈 전방 1촌, 유중혈 외방 3촌처(제4~5늑간)에 취함
단중혈 양방 7촌처에 취함
근육: 넓은등근, 앞톱니근, 바깥갈비사이근, 속갈비사이근
신경: 다섯째 갈비사이신경, 긴가슴신경
혈관: 갈비사이동정맥, 가슴배벽정맥, 가쪽가슴동정맥
침법: 직자 0.2~0.3촌 (내부위폐 불심자) / 사자 0.3~0.5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10~20분
주치
리기 작용이 있어서 기체로 인한 모든 병증에 사용
- 천계혈의 보조혈로서 유방과 관련된 모든 질환에 사용 (유종, 유옹, 유암 등 사용 뜸이 더 효과적 / 간기울결, 위열로 인한 것으로 봄)
- 담과 관련된 모든 병증(담낭염, 담석증, 황달 등)에 사용
- 언어삽체, 언불명료, 조잡에 사용
일월(GB24) ★
위치
앞가슴부위, 일곱째 갈비사이공간, 앞정중선에서 가쪽으로 4촌
젖꼭지 중심의 아래쪽, 기문으로부터 갈비뼈 하나 아래에서 취혈
여성의 경우에는 빗장중간선과 일곱째갈비사이 공간이 만나는 지점에서 취혈
기문혈 하방 0.5촌처로 제7~8늑골 사이에 취함
근육: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신경: 일곱째 갈비사이신경
혈관: 근육가로막동정맥, 속가슴동정맥의 앞갈비사이가지, 갈비사이동정맥
침법: 직자 0.3~0.5촌 (불가심자) / 사자 0.3~0.5촌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10~20분
속성
담의 복모혈
주치
담의 모혈로서 모든 간담질환, 소화기질환을 주치함
- 우측 일월혈은 간담질환(태식선수, 선노불상), 좌측 일월혈은 위질환(욕구다토, 범역탄산)에 활용 (우일월혈은 담낭, 좌일월은 위에 해당) (우일월: 간염, 담낭염, 담석증, 황달 등에 사용 / 좌일월: 위확장, 위십이지장궤양, 위경련 등에 사용)
- 늑간신경통, 횡격막경련 등에 사용하며 특히 늑막염의 요혈임
- 신장염, 신기충심, 협늑동통에 유효
경문(GB25) ★
위치
옆배, 열두째갈비뼈끝의 아래쪽 옆으로 누워 팔을 머리 위쪽으로 올리고 취혈
열두째갈비뼈끝은 뒤겨드랑선으로부터 뒤쪽의 갈비뼈활 아래쪽모서리에서 촉지
장문혈(제11늑골단, 주첨진처) 외사후하방으로 측요부의 제12늑골단에서 취함
근육: 넓은등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신경: 열한째 갈비사이신경
혈관: 가쪽가슴동정맥, 갈비밑동정맥
침법: 직자 0.3~0.5촌 (내부위신, 불가심자) / 사자 0.5~1촌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20~30분
속성
신의 복모혈
주치
- 신의 모혈로서 제반 신장 관련 질환의 진단, 치료에 응용 (+ 지실, 신수(요통 시)) (신장 질환의 주요 혈위로서 타진 시 민감하게 울리면서 통증이 있으면 신장병변이 있음을 의미함)
- 신염(일음, 수도불통), 신산통, 장산통(소장급통), 요통(요통불가구립부앙) 등에 사용
- 신성 고혈압에 사용
- 신결석의 반응점 (신수, 지실, 경문)
- 간담관련질환(담낭염, 담석증, 황달, 소화장애) (+ 일월, 측와위로 뜸)
- 늑간신경통 (환부주위혈)
대맥(GB26) ★
위치
옆배, 열한째갈비뼈끝의 아래쪽, 배꼽 중심과 같은 높이
먼저 열째갈비뼈를 찾은 후, 갈비뼈활의 아래모서리 바로 밑에서 열한째갈비뼈끝을 찾아 그 아래에서 취혈
장문의 아래쪽, 신궐과 같은 높이에서 취혈
경문혈과 장문혈 두 지점을 한 변으로 하여 삼각형을 그렸을 때에 마주 대하는 꼭짓점으로 취혈
근육: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배가로근
신경: 엉덩아랫배신경
혈관: 깊은엉덩휘돌이동정맥
침법: 직자 0.5~0.8촌 / 사자 0.5~1촌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10~30분
주치
대맥혈~유도혈은 대맥 교회혈로서 대맥병을 주치
- 일체 부인병에 기본이 되는 혈임
- 자궁내막염, 골반염, 월경부조 등 모든 부인병을 주치
- 적백대하(인습열하주)에 사용 (대맥증)
- 요복 및 소복이하의 모든 병증에 활용
- 繞제복요척통에 효과 (물주머니를 찬듯 무겁고 처지는 느낌이 있으며 하복부까지 통증이 심하게 미치는 요통에 유효)
- 장만불쾌감이 있는 소복이하의 병변에 유효 (습열하주로 인한 장염, 만성변비에 사용)
- 대맥약, 무력하함으로 인한 산증, 자궁탈수 등에 활용
- 복부비만 치료에 많이 응용 (배꼽을 중심으로 대맥을 따라 양측에 테이핑요법을 사용하면 유효)
오추(GB27)
위치
아랫배, 배꼽중심에서 아래쪽으로 3촌, 위앞엉덩뼈가시의 안쪽
대맥에서 아래쪽으로 3촌, 관원과 같은 높이에 위치
제하 3촌의 관원혈 상방 0.2촌에서 양방 7촌으로 전상장골극 앞 0.5촌에서 취함
근육: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배가로근
신경: 엉덩아랫배신경
혈관: 얕은엉덩휘돌이동정맥, 깊은엉덩휘돌이동정맥
침법: 직자 0.5~0.8촌 / 사자 0.5~1촌
뜸법: 애주구 5~7장 / 온구 10~30분
주치
대맥혈~유도혈은 대맥의 회혈로서 대맥위병을 주치
- 일체 부인병, 비뇨생식기계 관련 질환에 사용됨
- 부인대하, 자궁염, 남자한산 등 생식기 기능 감퇴로 인한 냉증상에 응용
- 대맥약, 무력하함으로 인한 산증, 자궁탈수 등에 활용
- 이급후중, 변비, 복통 등 소화기(대장, 소장)질환 (아시혈)
- 삼초부조(신염)로 인한 수종, 복수에 사용 (유도혈)
- 맹장염에 응용 (근위취혈) (유도혈)
거료(GB29) ☆
위치
엉덩이부위, 위앞엉덩뼈가시와 큰돌기융기를 연결하는 선의 중점
근육: 중간볼기근, 작은볼기근 + 대퇴근막장근
신경: 엉덩아랫배신경, 위볼기신경
혈관: 위볼기동정맥
침법: 직자 0.5~1촌 / 사자 2~3촌 (대퇴관절로 향해 자입) / 침첨을 대퇴관절로 향해 자입함 (하지제병에 다리를 편 상태에서 자침)
뜸법: 애주구 5~10장 / 온구 10~30분
주치
요부, 하복부 및 하지의 모든 병증을 치료함
- 요통인소복, 좌골신경통에 사용 (진음부족(유산, 다산, 복강경수술 후유증)으로 인한 부인요통(거료, 환도 부위의 동통)) (+ 대영전)
- 고환염, 신장염, 방광염, 맹장염, 자궁내막염, 백대과다 등에 응용
- 견급통, 견갑부, 상지신경경련에 사용
환도(GB30) ★
위치
엉덩이부위, 큰돌기융기와 엉치뼈틈새를 연결하는 선에서 가쪽으로부터 1/3과 안쪽으로부터 2/3가 되는 지점
환도의 부위가 엉덩이 부위, 위앞엉덩뼈가시와 큰돌기융기를 연결하는 선에서 가쪽으로부터 1/3과 안쪽으로부터 2/3가 되는 지점이라는 의견도 있음
옆으로 누워 넓적다리를 올려 엉덩관절을 굽혔을 때 쉽게 촉지됨
큰돌기융기 최고점과 둔열횡문상 2횡지되는 점(천골열골)과의 거리를 3등분하여 큰돌기융기에서 1/3되는 점에 취함
간단한 취혈법으로는 손가락 2~5지를 구부린 상태에서 수배면 기절골 부위를 큰돌기융기 최고점에 올린 다음 엄지손가락을 둔열횡문상으로 향하여 눌렀을 때 닿는 부위에 해당됨
근육: 큰볼기근, 궁둥구멍근, 위쌍둥이근
신경: 아래볼기신경, 궁둥신경
혈관: 아래볼기동정맥
침법: 직자 1~2촌 또는 2~3촌 / 사자 1~3촌
뜸법: 애주구 7~15장 / 온구 20~50분
주치
반신불수 치료 주요 혈위 중 하나로서 제반 하지질환(비증)에 사용
- 중풍, 반신불수, 각기 (+ 풍지, 견정, 일월, 경문, 대맥, 완골)
- 요퇴각통, 좌골신경통의 주요 혈위로서 특히 풍한습으로 인한 요과동통, 냉풍냉비질에 유효
- 진음부족(유산, 다산, 복강경수술 후유증)으로 인한 부인요통(거료, 환도 부위 동통)에 사용
풍시(GB31) ★★☆
위치
넓적다리가쪽면, 양팔을 넓적다리에 나란히 늘어뜨리고 똑바로 섰을 때, 가운데 손가락 끝이 닿는 엉덩정강근막띠 뒤쪽의 오목한 곳
큰돌기융기 고점에서 오금주름 중앙까지 1척 9촌의 골도법으로 산정하여 오금주름 중앙 상방 7촌처
근육: 가쪽넓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신경: 가쪽넙다리피부신경
혈관: 가쪽넙다리휘돌이동정맥
침법: 직자 0.5~1.5촌 / 사자 0.7~1.5촌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5~20분
속성
각기팔처혈, 중풍칠처혈
주치
반신불수 치료혈, 중풍칠처혈로 모든 비증(풍한습)에 사용
- 모든 하지 질환에 사용
- 중풍반신불수, 퇴슬무력, 각기에 사용
- 좌골신경통, 특히 풍한습으로 인한 요과 동통에 유효
- 대퇴부 근육의 피로감, 대퇴 근육이상의 국소치료혈로 유효 (은문혈과 더불어 대퇴부 대표혈)
- 소풍지통, 청열지양의 요혈로서 일체 풍비를 치료함
- 외감한사로 인한 구안와사에 사용 (압통점 위주로 대측에 침뜸)
- 인체 측부에 나타나는 제반 동통(늑골통, 하지측통), 편두통에 응용
- 곡원혈에서 견갑상각을 따라 통증이 있는 견비불거에 사용 (+ 중자, 중선, 목류, 목과, 중도, 족천금, 족오금)
- 담마진, 소양감(혈열)이 심한 피부염, 신경성피부염에 유효
슬양관(GB33)
위치
무릎가쪽면, 넙다리두갈래근힘줄과 엉덩정강근막띠의 사이, 넙다리뼈가쪽위관절융기 위 뒤쪽 오목한 곳
굴슬하여 대퇴골외측과 상방의 대퇴이두근건(대퇴근막장근) 전방에 취함
굴슬하여 양릉천혈 상방 3촌처에 취함(직립시에는 3촌보다 길어짐)
근육: 가쪽넓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장딴지근의 가쪽갈래
신경: 가쪽넙다리피부신경
혈관: 위가쪽무릎동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3~0.8촌
뜸법: 애주구 5~7장 / 온구 10~20분 / 불가구
주치
간신허로 인한 하지부의 제반 한열부조 병증을 주치함
- 일명 寒府로서 슬냉증의 요혈: 무릎이 시린 경우(찬바람이 불면 더욱 심해짐, 신허), 슬관절불리(+ 삼리) (외한이 쉽게 결취하므로 냉증에 민감한 혈위)
- 양관(한부, GB33): 요제이하의 한사제거(한랭증) (+족삼리)
- 풍문(열부, BL12): 요제이상의 열사제거(화열증)
- 학슬풍, 요통 (사암: 신정격)
- 관절염에 응용
양릉천(GB34) ★★★☆
위치
종아리, 종아리뼈쪽면, 종아리뼈머리에서 앞먼쪽 오목한 곳
상대측에 음릉천혈이 있으며, 슬양관혈 하방 3촌에 해당됨
근육: 긴종아리근, 긴발가락폄근
신경: 온종아리신경
혈관: 뒤정강되돌이동맥, 작은두렁정맥
침법: 직자 0.8~1.2촌 / 사자 1~2촌 (경골 후연을 향해 비스듬히 아래로 자입)
뜸법: 애주구 5~7장 / 온구 20~30분
속성
합토혈, 팔회혈 중 근회, 담의 육부하합혈
주치
- 팔회혈 중 근회혈로서 모든 근육관련 질환의 기본 혈 (근육, 건, 초기의 이완강직으로 인한 제반 병증을 주치함) (내장근 경련(토사곽란)에는 위중, 운동근 경련(전해질대사 평형실조)에는 승산을 사용) (근병: 신이불굴 / 골병: 굴이불신)
- 중풍후유증으로 일어나는 반신불수의 주요 혈위 (하지불수 시 + 사관, 족삼리 / 상지불수 시 + 곡지, 수삼리)
- 슬통(신부득굴), 학슬풍, 슬냉통(+ 슬양관)의 주요 혈위 (+ 족삼리, 양릉천투음릉천)
- 경근이상으로 인한 흉협통, 협늑통(늑간신경통)의 주요 혈위 (선지구 후양릉천)
- 간담의 원기부족으로 인한 협통 (+ 구허)
- 간담기울로 인한 협통 (+ 족임읍, 旁谷)
- 뇨실금, 유뇨에 사용
- 구안와사증, 안면신경마비, 삼차신경통에 보조혈로 사용 (+ 합곡)
- 사경증 (담자 중정지부)
- 냉풍습비(좌골신경통), 요통, 염좌 등에 근육을 풀어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석고 고정을 푼 후에 사용)
- 소양담경의 합토혈로서 간비불화, 목불충토지병(목극토)에 유효
- 소양병(흉협고만, 한열왕래, 구고인건) (+ 지구)
- 간양상항으로 인한 고혈압에 효과 (+ 곡지)
- 담낭운동조절 및 배공작용이 있어 담실증(담낭염, 담석증), 만성간염(흉협동통 수반) (+ 담낭점(제상 3촌 향우측변개 3촌 부위)
- 장출혈, 자궁출혈, 월경과다에 지혈 작용이 우수 (+ 격수, 혈해)
- 양릉천: 지혈작용(지경지대), 많이 뜸하면 비듬 발생
- 삼음교: 출혈촉진(통경하대), 많이 뜸하면 비듬 소실
- 편두통에 사용
양교(GB35) ★☆
위치
종아리, 종아리뼈쪽면, 종아리뼈뒤, 가쪽복사융기에서 몸쪽으로 7촌
오금주름의 가쪽끝과 가쪽복사융기를 연결하는 선의 중점에서 먼쪽으로 1촌과 같은 높이
외구의 뒤쪽에서 취혈
오금주름 중앙에서 족외과첨까지를 1척 6촌의 골도법으로 산정하여 족외과첨 상방 7촌처로 경골, 비골 사이에서 비골측에 취하며, 경골측에 외구혈을 취함
양교혈과 외구혈은 가로상으로 취하며, 양교혈과 외구혈 사이는 0.3촌임
족내과, 족외과 상방 7촌: 교혈, 외구혈, 하거허혈, 비양혈, 중도혈이 가로선상으로 위치
근육: 긴엄지굽힘근, 긴종아리근
신경: 얕은종아리신경
혈관: 앞정강동정맥
침법: 직자 0.3~0.8촌 / 사자 0.5~1촌
뜸법: 애주구 5~7장 / 온구 5~15분
속성
양유맥 극혈
주치
양유맥의 극혈로서 양유맥 병증 특히 한열을 수반하는 제급증에 응용
- 하지불수, 퇴슬통에 사용하며 특히 오한발열을 동반하는 경우에 유효
- 발열을 수반하는 흉막염, 苦肩息, 후비, 흉만에 사용
- 정신과 관련한 제반 질환(전간, 경광, 음병)에 사용
외구(GB36)
위치
종아리, 종아리뼈쪽면, 종아리뼈앞, 가쪽복사융기에서 몸쪽으로 7촌
오금주름의 가쪽끝과 가쪽복사융기를 연결하는 선의 중점에서 먼쪽으로 1촌과 같은 높이
양교의 앞쪽에서 취혈
오금주름 중앙에서 족외과첨까지를 1척6촌의 골도법으로 산정하여 족외과첨 상방 7촌처로 경골, 비골 사이에서 경골측에 취하며, 비골측에 양교혈을 취함
근육: 긴종아리근, 짧은종아리근, 긴발가락폄근, 긴엄지폄근
신경: 얕은종아리신경
혈관: 앞정강동정맥
침법: 직자 0.3~0.8촌 / 사자 0.5~1.5촌
뜸법: 애주구 5~7장 / 온구 5~25분
속성
극혈
주치
- 담경의 극혈로 급성 경련, 마비성 동통질환에 유효
- 한습각기, 하지 슬족관절의 급성 염좌 특히 구허 부위 염좌에 요혈임
- 소양증(흉협고만, 한열왕래, 구고인건)에 응용
- 간기울결로 인한 흉협고만(+ 지구, 양릉천)에 사용
- 담낭염, 담석증(+ 배수혈) 및 이로 인한 흉협고만에 사용
- 기부통, 癧풍기, 결핵에 유효
- 항강통, 편마비, 두통, 항상한열, 졸광, 전광에 사용
- 소아구루병, 소아龜胸에 사용
- 계견상(광견병, 공수병), 경락결독을 주치
광명(GB37) ★
위치
종아리, 종아리뼈쪽면, 종아리뼈의 앞, 가쪽복사융기에서 몸쪽으로 5촌
오금주름 중앙에서 족외과첨까지를 1척 6촌의 골도법으로 산정하여, 족외과첨 상방 5촌처로 경골, 비골 사이에 취함
근육: 긴발가락폄근, 긴엄지폄근, 짧은종아리근
신경: 얕은종아리신경, 깊은종아리신경
혈관: 앞정강동정맥
침법: 직자 0.5~0.9촌 / 사자 0.7~1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20분
속성
락혈
주치
담경의 락혈(별주궐음간경)로서 간신휴허로 인한 모든 병증에 응용
- 일절 안병의 주요 혈위: 외사에 의한 염증성질환(결막염, 안염)이 아니라 내부장기의 기능실조(인간신휴허, 노화)로 인한 안질환에 사용
- 시력감퇴, 근시치료에 사용
- 내장(백내장, 녹내장), 노육반정홍종, 시신경위축에 사용 (시력감퇴를 수반하는 경우에 유효) (+ 간수, 풍지, 각손, 찬죽, 사죽공, 정명, 태충, 합곡, 지오회)
- 계견상(공수병), 경락결독을 주치
- 편두통에 응용 (+ 임읍, 규음(유근상통))
- 각기, 구루 등 위축성 질환에 사용
- 원락배혈에 활용 (태충, 광명)
양보(GB38) ★
위치
종아리, 종아리뼈쪽면, 종아리뼈의앞, 가쪽복사융기에서 몸쪽으로 4촌
오금주름 중앙에서 족외과첨까지를 1척6촌의 골도법으로 산정하여, 족외과첨 상방 4촌처로 경골, 비골 사이에 취함
현종혈 상방 1촌, 비골의 외과 전연 상방 4촌에 취함
근육: 긴발가락폄근, 긴엄지폄근, 짧은종아리근
신경: 얕은종아리신경, 깊은종아리신경
혈관: 앞정강동정맥
침법: 직자 0.3~0.7촌 / 사자 0.5~1촌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5~15분
속성
경화혈
주치
담경의 경화혈, 자경사혈로서 족소양담경의 실증에 사용
- 경화혈(경주천해한열)로서 외감실증에 사용, 특히 상풍감모로 인한 편두통에 효과
- 소양경의 사혈로서 편도선염, 액임파선종에 유효
- 광명의 보조혈로서 간신휴허로 인한 제반 병증에 사용
- 중풍, 편마비에 사용
- 전신관절통, 요부냉통(여욕욕좌수중), 흉중, 협늑, 비, 슬외지절골외과전통(담경상 동통)에 사용
현종(GB39) ★★★★☆
위치
종아리, 종아리뼈쪽면, 종아리뼈의앞, 가쪽복사융기에서 몸쪽으로 3촌
오금주름 중앙에서 족외과첨까지를 1척6촌의 골도법으로 산정하여, 족외과첨 상방 3촌처로 경골, 비골 사이에 취함
족외과상에서 일부법으로 경골, 비골 사이에 취하며, 삼음교혈과는 내외상대혈에 해당됨
근육: 긴발가락폄근, 긴엄지폄근, 짧은종아리근, 긴종아리근
신경: 앝은종아리신경, 깊은종아리신경
혈관: 앞정강동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5~1촌 (뼈를 피해 바깥쪽을 향해 자침) / 삼음교로 향해 0.5~1.5촌 투자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5~20분
속성
족삼양 대락, 수회, 중풍칠처혈, 각기팔처혈
주치
- 반신불수 치료혈로서 중풍, 반신불수로 인한 하지무력에 사용
- 팔회혈 중 수회혈(일명 절골)로서 제반 수골증(진음부족)을 다스림 (+ 대저)
- 족슬관절 염좌(+ 구허, 외구), 골절, 골수염의 주요 혈위 (뜸 위주)
- 위벽, 위궐, 신체불인, 수족편소에 사용 (척추이상이 없으면서 원인불명으로 인한 하지무력, 기립하지 못하는 경우 + 삼리, 양릉천, 풍시 세 곳에 뜸)
- 소아마비로 인한 하지마비에 유효
- 진음부족으로 인한 둔통, 요통(+ 양보, 요부팔점): 여성의 출산, 유산, 복강경 수술 등 후에 일어나는 요통에 효과
- 요부냉통 시엔 양보혈
- 소양화를 청설하는 작용이 있어 편두통에 양호한 효과를 보임 (건측단사)
구허(GB40) ★★☆
위치
발목앞가쪽면, 긴발가락폄근힘줄의 가쪽, 가쪽복사의 앞먼쪽 오목한 곳
둘째부터 다섯째발가락까지를 저항에 대항하면서 펴서, 먼저 긴발가락폄근힘줄을 찾고, 구허를 취혈
족외과 하연에서 수평선을 긋고, 족외과 전연에서 수직선을 그었을 때 교차하는 점에 취함
족부관절의 장무지신근건과 장지신근건 사이에서 해계혈을 취하고, 장지신근건 외측으로 구허혈을 취함
근육: 긴발가락폄근, 짧은발가락폄근
신경: 가쪽발등피부신경, 얕은종아리신경
혈관: 가쪽앞복사동맥, 작은두렁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5~1촌 (족내과하연을 향해 자침)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25분
속성
원혈
주치
- 소양담경의 원혈로서 담경 허실로 인한 제증을 다스림 (침구)
- 간실비허(목극토)로 인한 병증에 유효
- 목시불명, 목예, 동자불견 등의 제안질 (간개규어목)
- 위경련, 위복통 등 소화기 제반 병증에 유효
- 늑막염(한열, 해수), 담낭염, 담석증에 사용
- 소양증(흉협고만부득식, 한열왕래, 구고인건)에 응용
- 간실비허(목극토)로 인한 병증에 유효
- 목경의 목혈로서 리기도체, 서근진통 작용이 있어서 전근, 흉협병, 담경 상으로 오는 동통 질환에 사용
- 협륵통, 늑간신경통, 좌골신경통에 효과
- 족관절 염좌의 상용혈 (+ 예풍, 외구, 현종, 상구: 구허, 상구 부위를 비교하여 통증 위주로 취혈 / 동씨: 오처, 동자, 동선 / 사암: 간정격, 담승격)
- 비추통(대전자통), 하지불수에 활용
- 원락배혈에 활용 (구허, 여구)
족임읍(GB41) ★★☆
위치
발등, 넷째와 다섯째발허리뼈 바닥의 연접부에서 먼쪽, 다섯째긴발가락폄근힘줄의 가쪽 오목한 곳
제4~5중족골간으로 협계혈 후방 1.5촌이며, 장지신근건의 소지측 분지의 외측 함처에 취함
제4~5지의 본절후함중으로 족 제4~5지 사이의 발등을 압상하여 밀어 올라가면 지첨이 정지하는 곳으로 장지신근건의 소지측 분지 근건을 넘어서 취함
근육: 등쪽뼈사이근, 긴발가락폄근
신경: 중간발등피부신경
혈관: 등쪽발허리동맥, 발등정맥활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3~0.5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3~5분
속성
수목혈, 팔맥교회혈 중 하나
주치
- 팔맥교회혈 중 하나(통우대맥)로서 대맥위병 및 부인과 제반 질환에 활용 (대맥위병은 대맥혈 참고)
- 자율신경실조증(한열, 역기상충), 갱년기장애에 효과 (+ 사관 / 사암: 소장정격)
- 월경부조, 월경통, 대하에 유효
- 소복창통(+ 내정), 요통(요용용약수중좌) 등에 효과
- 소양경의 수목혈로서 기혈울체, 간기울결로 인한 제열증에 유효
- 기혈울체로 인한 일체 마비증세를 해하는데 쓰이는 대표혈임 (+ 지오회 / 동씨: 목류, 목과) (중풍, 하지마비, 설강불언, 비골신경통 등에 사용)
- 간담기울로 인한 협통, 측복통 (+ 旁谷)
- 경액임파선염, 갑상선기능항진증(바세도우병) (사암: 소장정격)
- 소양경의 열로 인한 안질환(결막염, 유루증, 목외자통), 이롱에 사용
- 유옹, 유선염에 사용
- 오행침법에 활용
지오회(GB42) ☆
위치
발등, 넷째와 다섯째 발허리뼈 사이, 넷째발허리발가락관절 몸쪽 오목한 곳
제4~5지 본절후 함중으로 협계혈 후방 1촌처에 취함
족임읍혈 전방 0.5촌이며, 장지신근건의 소지측 분지의 내측에 취함
근육: 등쪽뼈사이근, 긴발가락폄근
신경: 중간발등피부신경
혈관: 등쪽발허리동맥, 발등정맥활
침법: 직자 0.1~0.4촌 / 사자 0.3~0.5촌
뜸법: 애주구 2~3장 / 온구 5~10분 / 금구
주치
- 기혈울체로 인한 소양실열증을 다스림
- 액하종통, 액임파선염에 사용
- 유옹유종, 유통, 유선염 등에 사용
- 간신휴허로 인한 소양허열증에 응용
- 폐결핵 각혈에 사용
- 안적통, 안양, 목외자통 등 안질환 사용
- 이명에 유효
협계(GB43) ★☆
위치
발등, 넷째와 다섯째발가락 사이, 발샅자리의 몸쪽, 적백육제
제4~5지 지봉연으로 기골간 요함처에 취함
근육: 등쪽뼈사이근
신경: 등쪽발가락신경
혈관: 등쪽발가락동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3~0.5촌
뜸법: 애주구 2~3장 / 온구 3~5분
속성
형수혈
주치
- 담경의 형수혈로서 소양경지열로 인한 제열증에 사용
- 상한발열 한불출증에 사용
- 목외자홍종 등 안질환에 유효
- 호흡기질환과 관련한 늑막염, 폐결핵에 유효
- 마진(투진이발한)에 사용
- 족배통혹부종(사혈), 흉협지만 등에 사용
- 자경보혈로서 간신휴허로 인한 제반 병증에 응용
- 간담이 원인(내열한불출)인 목현, 두훈에 유효 (기립성 현훈)
- 이명, 이롱, 난청 등에 사용
- 족심열(주의 금기: 발한 작용이 있으므로 음허내열로 인한 제반 병증에 진용해야함)
- 오행침법에 활용
족규음(GB44) ★
위치
넷째발가락, 끝마디뼈의 가쪽, 넷째발톱가쪽뿌리각에서 몸쪽으로 0.1촌
넷째발톱의 가쪽모서리를 지나는 수직선과 발톱뿌리를 지나는 수평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취혈
족 제4지 조갑의 요측 모서리를 지나는 수직선과 조갑근을 지나는 수평선이 만나는 지점으로 조갑근각에서 족소지측으로 0.1촌처에 취함
근육: 긴발가락폄근
신경: 등쪽발가락신경
혈관: 등쪽발가락동정맥
침법: 직자 0.1~0.2촌 / 사자 0.1~0.2촌
뜸법: 애주구 1~3장 / 온구 3~5분
속성
정금혈
주치
- 담경 정금혈로서 소양경열의 울체로 인한 제반 병증에 유효 (목반모금, 간불조달병에 사용)
- 흉통, 해수, 발열이 있는 호흡기 질환에 사용
- 수족번열, 심번열 등으로 인한 두통(편두통), 흉민에 사용
- 이후 유양돌기 부위의 통증(구안와사 전조증) 시 사용 (사혈)
- 협늑 부위(오장간)가 당기고 아픈 경우에 사용
- 상완외과통(장부상통)
- 목질환에 응용
- 심담허로 인한 불면에 사용 (담열즉호면)
- 오행침법에 활용
'경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 치료의 기본 단위, '촌(寸)'의 의미와 중요성 (1) | 2024.09.22 |
---|---|
족궐음간경 주요 내용, 혈자리 정리 (6) | 2024.09.02 |
수궐음심포경 주요 내용, 혈자리 정리 (0) | 2024.08.29 |
수소양삼초경 주요 내용, 혈자리 정리 (0) | 2024.08.25 |
족소음신경 주요 내용, 혈자리 정리 (0) | 2024.08.23 |